옹진군, 덕적면 주민 대상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 실시 [금요저널] 옹진군은 지난 21일 덕적면사무소 회의실에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응급상황 발생 시 초기 대응 능력을 높이고 주민 스스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인천광역시 의료원 공공의료사업팀의 전문 강사진이 참여해, △심폐소생술 이론 및 실습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기도폐쇄 시 대처법 △응급상황별 기본 응급 처치요령 등을 중심으로 체험형 실습 위주로 진행됐다. 교육 참석자들은 심폐소생술 실습용 마네킹과 AED 모형기를 활용해 실제 응급상황을 가정한 훈련에 참여했으며 강사들은 주민 눈높이에 맞춘 단계별 지도로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응급처치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교육은 도서지역의 지리적 특성상 의료기관 접근이 어려운 상황에서 ‘최초 목격자의 즉각적인 응급처치’ 가 생명을 좌우한다는 점에 착안해 추진된 사업이다. 박혜련 옹진군보건소장은 “응급상황에서 단 한 번의 심폐소생술이 소중한 생명을 살릴 수 있다”며 “앞으로도 군민 모두가 기본적인 응급처치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광역시_옹진군청사전경(사진=옹진군) [금요저널] 옹진군은 최근 ‘25. 9. 11. 영흥도 꽃섬 인근 갯벌에서 해루질 고립자 구조 中 故이재석 경사의 안타까운 사망사고와 현재까지도 갯벌 고립 및 사망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인천해양경찰서에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 제10조등을 근거해 연안해역 위험구간 출입통제 지정·공고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옹진군은 인천시 중구 무의동 하나개해수욕장 갯벌 및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곰섬 갯벌 지역 등 타 지역의 출입통제를 사례로 언급하며 옹진군도 조속히 출입·통제를 지정 해줄 것을 인천해양경찰서에 강력히 요청했다. 특히 해루질 사고가 잦은 영흥면 일대 출입통제 구역이 지정되면 일몰 후 30분에서 일출 전 30분 시간 동안은 갯벌 야간 전면출입 통제가 실시되어 해루질로 인한 인명 사고 및 관광객 안전사고 예방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인천시 중구 무의동 같은 경우는 ’19년~21년‘ 3년 동안 총 15명의 연안사고 中 13명 구조 및 2명의 사망자가 발생해 ‘21년 7월 9일’ 일자로 출입통제를 지정·공고 했고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곰섬 갯벌 지역 또한 ‘18년~23년’ 5년동안 3명 구조 및 2명의 사망자가 발생되어 ‘23년 10월 20일’ 출입통제를 지정·공고했다. 문경복 옹진군수는 “최근 옹진군 영흥면 일대에 해루질 및 고무보트 전복 사고 등 갯벌 고립 및 사망사고 관련, 이와 유사한 사고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안전사고예방 및 안전강화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