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6℃
7℃
5℃
8℃
6℃
5℃
7℃
7℃
8℃
0℃
8℃
8℃
6℃
8℃
7℃
4℃
3℃
8℃
6℃
7℃
12℃
7℃
7℃
6℃
6℃
여주시농협조합공동사업법인(RPC)이 2025년산 ‘대왕님표 여주쌀’ 추곡 수매가격을 조곡 40㎏ 기준 8만8천원으로 결정하면서 농민들이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 23일 오후 3시 여주시농협 RPC 2층 대회의실에서 신동민 RPC 대표와 이계관 농협 시지부장, 8개 지역농협 조합장이 참석한 이사회가 열렸다. 3시간30분의 격론 끝에 오후 6시30분께 3천원 인상안이 의결됐다. 이에 따라 품종별 수매가격은 조생종 히토메보래 8만8천원(전년 8만원), 중생종 진상 8만8천원(전년 8만5천원), 만생종 추청 8만원(전년 7만7천원)으로 확정됐다.
여주쌀 수매가는 2021년 9만원을 정점으로 2022년 동결, 2023년 5천원 인하(8만5천원), 2024년 재차 동결되어 왔다. 3년 전 9만원이었던 수매가가 이번에도 8만8천원에 그치자 농민들의 불만이 폭발했다.
이사회 직전인 오후 2시30분부터 여주농민회와 여주시농업인단체협의회 회원들은 RPC 광장에서 9만5천원 인상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농업인단체협의회는 성명서를 통해 “비룟값, 농약값, 연료비, 인건비 등 모든 생산비용이 급등했고, 목도열병과 깨씨무늬병 확산으로 농가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올해 쌀값이 수확기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데, 운영위가 결정한 9만5천원 수매가를 미루는 것은 농민 조합원의 땀값을 훔치는 명백한 배신”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여주에 농협들은 전국에서 가장 싼 가격에 여주쌀을 판매해 농민에게 돌아가야 할 이익이 유통업자들에게 넘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동민 RPC 대표는 “쌀 소비 둔화와 쌀값 하락으로 최근 3년간 적자가 발생해 RPC와 각 농협이 경영난을 겪고 있다”며 “3시간 넘는 이사회에서 힘들게 도출된 결정을 존중해야 하며 재논의는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RPC는 지난해 이월결손금이 20억7천여만원에 달하고 최근 3년간 2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인근 지역은 이천시가 주력품종 ‘알찬미’를 3천원 인상한 8만3천원으로, 평택은 고시히카리를 3천원 인상한 8만4천원으로, 김포는 고시히카리를 6천360원 인상한 8만3천360원으로 각각 결정했다.
‘대왕님표 여주쌀’은 2025년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조사에서 농산물브랜드 부문 1위를 차지했으며, 여주통합RPC는 올해 4년 만에 조기 완판 성과를 거두며 소비자 신뢰를 회복했다.
한편 농업인단체협의회 관계자는 “농민회, 한농연, 지도자회 등 농단협 회원들이 27일 재집결해 대응책을 논의할 계획”이라며 “재결정만이 답”이라고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