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수(국·안성1) 경기도의원이 26일 안성 공도읍 행정복지센터에서 ‘취수 기능 상실한 상수원보호구역 해제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경기도와 도의회가 공동 주최한 이번 토론회는 불합리한 상수원보호구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치인과 전문가, 행정가, 주민 등이 한 자리에서 모여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평택 유천취수장으로 ‘혜택은 평택이, 규제는 안성이’ 받고 있는 지역 현실 속 200여명이 넘는 공도읍 주민들이 대거 참여했다.
박 의원이 좌장으로 앉아 시작된 토론회는 조영무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지속가능한 수질 보전 정책(KEI) 보고서 중심으로’란 주제발표와 함께 본격적인 일정이 진행됐다.
이어 임창휘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위원과 사재경 경기도민, 황영주 안성시 전략기획담당관, 김용진 경기도 수자원본부 상하수과장 등이 토론자로 나서 차례로 자신들이 생각한 해법을 제시했다.
임 도시환경위원회 위원은 “빠른 도시화로 기존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이 현실과 괴리되고, 산업구조 변화와 인구 급증에 따라 지역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며 “상수원보호구역에 대한 합리적인 조정과 ‘통합적 물관리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황 전략기획담당관도 “유천취수장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이 본래의 목적과 효과를 상실한 채 안성과 천안에 과도한 희생만을 요구하고 있다”며 “대체용수 확보와 수질 개선대책이 마련된 만큼 규제 해제가 충분히 가능한 만큼 불공정한 규제를 풀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책임 있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상하수과장은 “평택호를 청정 호수로 조성하기 위한 수질 개선 사업과 함께 재생에너지 전환과 관광 활성화를 연계한 종합 전략이 제시되면 수질 보전과 지역 균형 발전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다”고 해법을 제시했다.
좌장인 박 의원은 “오늘 토론회는 취수시설의 폐지와 상·하류에 미치는 영향, 대체 수자원 확보 방안 및 수질보전 대책 검토와 함께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위한 실질적 정책 대안을 모색하고자 자리를 마련했다”며 “오늘 도출된 의견들을 실무부서와 함께 면밀하게 검토한 후 향후 도와 지자체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