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경기교육 정책토론회, “유보통합 준비를 위한 영유아 교원 역량 강화” 정책토론회 개최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김선희 위원 좌장 맡아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
    2025-08-29 13:32:25




    2025 경기교육 정책토론회, “유보통합 준비를 위한 영유아 교원 역량 강화” 정책토론회 개최



    [금요저널] 김선희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위원이 좌장을 맡은 ‘유보통합 준비를 위한 영유아 교원 역량 강화’정책토론회가 08월 28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본 토론회는 경기도교육청과 경기도의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2025 경기교육 정책토론회’의 일환으로 개최됐다.

    김선희 의원은 “유보통합이라는 제도적 전환을 맞이하는 시점에서현장의 교사들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정서적·심리적 역량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오늘 토론회가 실천적 정책을 제안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주제발표를 맡은 김미경 박사는 AI 시대 변화와 유보통합의 흐름 속에서 교사의 역할이 어떻게 재정의되어야 하는지를 짚었다.

    특히 정서 발달, 감정 표현, 예술 치유, 관찰 기록의 공공화 등 교사의 역량영역이 심화·확장되고 있음을 강조하며 관련 정책 지원 체계 마련을 제안했다.

    첫 번째 토론을 맡은 지연아 학부모는 자녀의 실제 기질 변화 사례를 통해“교사가 아이의 특성과 정서를 이해하고 존중해주는 것이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말하며 교사의 정서적 공감과 유아 이해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토론을 맡은 김경숙 교수는예술기반 교육이 아동의 감정 표현, 창의성, 심리적 안정에 효과적이라며교사 연수 프로그램 내 예술치유 요소를 포함하는 체계적, 구체적, 전문적인 시스템을 갖춘 정책적 반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 번째 토론자인 진영란 원장은현장의 정서지원 프로그램 사례를 공유하고 교사 대상 연수, 지원센터 제도화, 정서 프로그램 보급, 교사 번아웃 예방과 상담 기능 강화를 위한 현장 실행 중심의 제도 정비를 강조했다.

    네 번째 토론자인 박명순 수석부회장은“교사는 단순한 기록자가 아니라 관찰과 해석의 전문가”고 강조하며부모상담 역량, 심리 지원 체계, 실습 교육 강화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다섯 번째 토론자인 이연주 장학사는“유보통합의 핵심은 교원의 자격과 양성 체계 통합”며 현행 이원화된 자격제도의 한계와 통합 자격 설계 방향을 제안했고 교원 전문성 강화가 핵심임을 강조했다.

    김선희의원은 결국 인성교육의 절실함을 거듭 강조하면서 영유아기때부터 올바른 심성과 마음건강을 위한 ‘마음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선희 의원은 토론회 내용을 종합하면서 “저는 인성을 최우선으로 대입에 적용해야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하면서 ‘인성’을 강조했다.

    또한 김선희 의원은 “그래서 영유아 시기부터 마음교육이 중요하고 이미 교육부와 정부에서 마음 건강을 강조하고 있다”고 이번 정책 정책토론회 의미를 부여했다.

    이날 토론회는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백현종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대표의원, 안광률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위원장, 김호겸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의원이 축사를 전했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