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저널] 과학기술 분야의 우수한 탐구 성과를 평가하는 전국과학전람회의 전국대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전국과학전람회는 1949년 시작되어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과학탐구대회로 지금까지 수많은 우수 과학인재를 발굴해왔다.
제1회 대통령상 수상자인 임한종 교수는 세계 최초 간디스토마 치료제를 개발한 기생충학자로 우리나라 기생충 박멸에 기여한 대표적 과학자로 평가받는다.
이 외에도, 한국현 삼영기계 사장, 조원기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등 주요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자를 배출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유망주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고 있다.
올해 제71회를 맞은 전국과학전람회의 전국대회 참가자 선발을 위한 지역 예선대회가 모두 종료됐다.
전국에서 출품된 작품은 총 2,836점으로 시·도 예선을 거쳐 초등학생 71점, 중학생 53점, 고등학생 158점 등 총 301점이 전국대회 본선 진출작으로 최종 선정됐다.
제71회 전국과학전람회는 서면심사~29일)를 시작으로 면담심사)를 통해 대통령상 2점, 국무총리상 2점 등 총 300여 점의 작품에 대한 시상을 확정할 예정이며 9월 12일부터 9월 26까지 총 15일간 국립중앙과학관 미래기술관 3층에서 전국대회 출품작 전시가 진행된다.
권석민 국립중앙과학관장은 “전국과학전람회는 70년이 넘는 역사 속에서 청소년들에게 과학기술에 대한 꿈과 희망, 도전의 장으로 자리매김해 왔으며 우리나라 과학자 양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과학기술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된 시대에 과학기술 인재의 확보는 중요한 국가적 과제”며 “이번 대회 참가자들이 이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의 우수한 과학자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