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사진=PEDIEN)
[금요저널]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마련한‘사람중심도로 설계지침’ 개정안이 10월 19일부터 시행된다.
PM을 고려한 도로설계 지침을 도로 건설 및 보수 현장에 적극 반영해 PM 이용자 및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PM이 차도, 자전거도로와 보행도로를 넘나들며 통행하면서 관련 교통사고 건수도 증가하고 있으나, PM을 고려한 도로설계 지침은 미비한 실정이었다.
117건 → 2,386건 / 사망자수: 4명 → 26명 이에 따라 국토부는 PM을 고려한 도로설계 지침을 포함한‘사람 중심도로 설계지침’ 개정을 마련했으며 행정예고를 거쳐 개정안을 확정했다.
바퀴가 작고 회전반경이 크며 제동거리 소요 등 PM 장치의 특성을 고려해 횡단보도 경계 간 턱을 낮추고 도로 곡선반경을 보다 크게 하고 최대 경사도 기준도 명시하는 등 도로구조 시설기준을 규정했다.
보행자들과 PM 이용자 간의 상충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규도로 건설 시 교통 특성에 따라 PM 통행로를 연석이나 분리대 등을 통해 물리적으로 분리토록 하고 PM을 고려한 도로 폭을 확대토록 했다.
조명시설, 시선유도시설, 자동차 진입 억제시설 설치 등 PM을 고려한 안전시설을 적용토록 했으며 지하철역 주변 등에는 보관 및 충전시설 등 부대시설 설치도 고려하도록 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에 개정된‘사람중심도로 설계지침’을 각 지방자치단체 등 도로관리청에서 교통상황을 고려해 적극 적용하도록 독려해 나가는 한편 신규 설치 도로 등을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