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번 교체는 119건, 3번 교체는 28건, 4번 교체는 9건이었으며 ‘수출 품목별 연중 수출기술 개발 및 시범수출 실증’과 ‘GAP 연계 항생제 내성 최소화 모델 개발’연구과제는 무려 5번이나 연구책임자가 교체됐다.
문제는 연구책임자들의 잦은 인사이동에 더해 농촌진흥청 R&D 사업 예산도 올해 9,022억원에서 내년 7,174억원으로 대폭 삭감됐다는 것이다.
농촌진흥청의 R&D 예산 삭감 폭은 국가 전체 R&D 예산 삭감 폭인 16.6%보다 더 많은 20.5%로 총 1,848억원이 삭감됐다.
소병훈 의원은 “기초연구 예산은 삭감하고 단기적인 성과가 보이는 곳에만 투자한다면 대한민국의 농업 미래는 없다”며 “농진청 내부적으로는 R&D 사업 특성을 반영해 연구 질적 저하가 이뤄지지 않도록 하고 정부 정책 기조는 미래를 대비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