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6℃
7℃
5℃
8℃
6℃
5℃
7℃
7℃
8℃
0℃
8℃
8℃
6℃
8℃
7℃
4℃
3℃
8℃
6℃
7℃
12℃
7℃
7℃
6℃
6℃
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 과학과 예술이 만난 ‘별밤음악회’ 참여 …참여형 과학문화 확산 강조 [금요저널] 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은 30일 인천학생과학관 천체투영실에서 열린 ‘별밤음악회’에 참여해 예술과 과학이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교육문화를 함께했다. 이번 음악회는 관내 초·중학생 30가족 13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음악과 천체 연극을 결합해 학생과 학부모가 함께 과학 문화를 체험하도록 기획됐다. 라이브 앙상블의 클래식 연주와 별자리 이야기를 결합해 몰입도를 높였고 천체 돔을 활용한 연극 ‘기묘한 모험’은 과학적 상상력과 예술적 감수성을 동시에 자극했다. 도성훈 교육감은 “예술과 함께 밤하늘을 읽고 과학관을 걷고 별 이야기를 쓰는 별밤음악회는 시민 참여형 융합 축제”며 “앞으로도 참여형 과학문화 프로그램을 확대해 과학을 즐기는 도시 인천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인천광역시교육청, 유치원-어린이집-초등학교 연계 협력방안 논의 [금요저널] 인천광역시교육청은 30일 ‘유·어-초 이음교육 간담회’를 열고 2025년 영유아학교 시범운영 기관 및 어·초 이음교육 시범기관 교직원을 대상으로 현장 중심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유치원·어린이집·초등학교 간 교육과정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강화하고 효과적인 이음교육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한 다양한 협력 사례를 공유했다. 간담회에서는 교육부 유·초 이음교육 컨설턴트 자료 개발에 참여한 경기 마장초등학교 김나영 교사가 ‘이음교육의 이해 및 현장 적용 방안’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며 이음교육의 필요성과 운영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진 소통의 시간에는 교직원들이 현장의 어려움과 성과, 기관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개선 방향을 함께 모색했다.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유치원과 어린이집뿐 아니라 초등학교 교직원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현장 안착 방안을 논의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초등학교로의 원활한 전이와 적응 지원을 위한 이음교육이 내실 있게 운영되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인천광역시교육청, 미래교실 36개교 현장 점검 실시 [금요저널] 인천광역시교육청은 2021 미래교실 사업을 완료한 36개교에 대해 안전성, 활용성, 만족도 등을 알아보는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고 3일 밝혔다. 미래교실 사업은 2019년을 시작으로 133교가 미래교실 구축했으며 올해는 백령초 등 40교가 참여 중이다. 인천학익여고는 유휴 교실에 이동형 벤치를 설치하고 벽 전체를 화이트보드로 꾸며 수업, 토론, 공연이 가능한 다목적 공간을 구성하고 자판기만 있던 1층 홀을 산뜻하고 아늑한 쉼터로 바꿔 학생들의 휴식, 토의, 자기주도적 학습 등이 가능한 공간으로 재구성했다. 인천병방초는 1학년 아이들이 낯선 학교생활에 적응을 돕도록 교실과 복도를 동물원의 모습을 본떠서 다채롭게 구성하고 교실 3개 넓이에 달하는 넓은 놀이터 교실을 구축했다. 1학년 담임 교사는 “아이들이 아주 즐겁게 학교생활을 하고 있다 내년에 2학년이 되어 일반교실로 돌아가게 되면 실망이 크지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아이들이 꿈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학교의 모든 교실이 미래교실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미래교실은 구축 과정에 교사, 학생, 학부모가 모두 참여하며 건축전문가와 함께하는 수업을 통해 아이들이 스스로 학교의 주인이 되어 자신에게 필요한 공간을 설계한다. 인천광역시교육청은 지금까지 운영을 통해 얻은 사례 분석을 토대로 단위학교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을 시행해 미래교실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by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 과밀학급 해소 및 학교 시설 개방 방안 마련 검토 지시 [금요저널] 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은 3일 열린 6월 행복소통만남회의에서 당선 후 첫 지시사항으로 일부 지역의 과밀학급 해소 방안을 위한 학교 신설 문제와 학교시설 개방 방안 마련을 적극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도 교육감은 이날 회의에서 “최근 일부 지역은 과밀학급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학교 신설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위원회 등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신설, 과밀 학급 등의 해결방안을 신속히 마련해 달라”고 했다. 이어 학교시설 개방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도 교육감은 “학교는 닫힌 공간이 아닌 지역 주민들과 함께 공유하는 공간으로 변화해야 한다”며 “학생들의 학습권이 보장됨과 동시에 학교가 지역 주민들의 삶에 있어 열린 공간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 달라”고 말했다.
by